미국 Google은 3월 15일 2017년 Android 보안 동향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유해 앱 대책이나 취약성 대책 등의 대처에 대해서 설명했다.
"우리의 목표는 단순히, 20억대를 넘는 Android장치를 지키는 데 있다"라고 강조했다.
2017년 5월에는 잠재적 유해 앱(PHA) 저지를 목적으로 한 "Google Play Protect"를 릴리스.
적어도 하루에 1번꼴로 자동적으로 Android단말을 확인하고,
2017년 1년간 약 3900만 PHA을 삭제했다고 한다.
이러한 PHA의 60.3%는 기계 학습을 사용해 검출했다고 설명했고,
기계 학습에 의한 검출률은 앞으로 더 상승할 것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Google의 공식 앱 스토어 "Google Play"의 유해 앱 대책에 대해서는,
"Google Play 에서 앱을 다운로드하는 기기는 다른 소스로부터 앱을 다운로드하는 기기에 비해서,
PHA가 끼어들 확률이 9분의 1정도가 된다"라고 강조한다.
Play Protect에서는 Google Play에 새롭게 제출되는 앱의 심사 기능도 강화하고,
심사한 Play앱은 2016년보다 65% 늘었다.
Android의 보안 업데이트에 대해서는 업체 등과 연계하여 릴리스 태세 향상에 임해,
보안 패치를 받는 디바이스는 2016년보다 30% 늘어났다고 밝혔다.
Android의 취약성을 발견한 연구자에게 상금을 지급 "Android Security Rewards" 프로그램에서는
총 128만달러의 상금을 증정.
이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당첨금 총액이 200만달러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IT 이야기 > 보안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cebook, #DeleteFacebook 캠페인이 늦은 이유 - 일본호스팅 제이피서버 (0) | 2018.04.02 |
---|---|
AMD의 프로세서 'Ryzen'과 'EPYC'에 중대한 취약성 공개 - 일본서버호스팅 제이피서버 (0) | 2018.03.19 |
Microsoft, 3월의 보안업데이트 공개 75건의 취약성 수정 - 일본서버임대 제이피서버 (0) | 2018.03.14 |
Android 해킹앱 "AndroRAT"의 새로운 아종발견 - 일본서버호스팅 제이피서버 (0) | 2018.03.08 |
'Toast'이용해 오버레이 공격 실행하는 Android 악성 앱 Google Play에서 확인 - 일본서버호스팅 제이피서버 (0) | 2017.11.29 |